테스트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임의 문서
도구
최근 변경
인터넷 방송
(편집 요청)
[알림]
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.
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. 로그인된 사용자(이)여야 합니다. 해당 문서의
ACL 탭
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관련 기술 및 서비스 === 1990년대 후반 초창기엔 [[ADSL]]같은 [[네트워크]] 환경이나 컴퓨터 환경이 비디오를 [[스트리밍]]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. [[Windows 98]] 시절, [[리얼 플레이어]]를 통한 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했었다. [[Windows Me]] 시절, [[Microsoft Media Player]] 7.0 버전(기능강화)을 통해 영상 스트리밍을 할 수 있었다. [[Windows XP]] 시절, [[WMV|WMV8]]이 보급되며 화질 좋은 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해졌다. 2002년, 한국에 보다 빠른 인터넷 [[VDSL]](10Mbps)이 보급되었지만 [[버퍼링]]의 시대였기에 [[스트리밍]]보다는 [[웹하드]], [[P2P]]가 선호되었다. 2003년, 웹2.0이 유행했고, 몇년 뒤 [[AJAX]]가 구현되면서 "문서로서의 웹"에서 더 나아가 "무언가를 조작할 수 있는 웹"으로 변화한다.[* 일례로 페이스북 웹 메신저 같은 기능이 가능해졌다. 이 말인 즉슨 기술공개와 상용화까진 시간차가 꽤 존재한다는 말이기도 하다(...) 기술이 좀 더 다듬어질 시간도 필요했고(...) 일단, 영상 관련해서는 순수 브라우저로 영상을 보려면 재생 전에 영상을 모두 다운로드 해야 했던 상황에서, HLS 프로토콜처럼 영상 조각조각 일부만 다운로드한 뒤 짜깁기해서 볼 수 있게 되어 영상 건너뛰기 등에서 효율성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짚어볼 수 있다. 이 기술이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[[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]] 도움을 받는데, 이는 후술.][* 이 시기에 '[[블로그]] → [[RSS]] → [[팟캐스트]]'의 진화도 일어났다. 소위 "[[유튜브|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알림설정]]"의 뼈대가 잡히던 시기였다. 인터넷 방송 자체보다는 [[VOD]]와 관계가 깊은 기술이지만, 인터넷 방송인들에게는 --[[밥줄|돈줄]]-- 중요한 기술이기도 하다.] 2005년, 한국에 [[FTTH]]가 상용화되어 100Mbps 광케이블이 보급되었다. [[UCC]] 열풍의 시작이었던 [[아프리카TV]]의 전신인 W플레이어를 시작으로, 다음 [[tv팟]](현 [[카카오TV]]), [[ustream]] 등 부담 없이 비디오와 오디오를 스트리밍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들이 생겨났다. 또 캠코더를 이용한 현장 중계 등 인터넷 방송을 위한 다양한 장비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. [[DivX]]-[[Xvid]] 코덱이 보급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. 다만, 국내업체들은 [[망 사용료]] 부담에 [[그리드 컴퓨팅]]을 도입했다. [[https://www.fmkorea.com/919873447|#]] 2006년, [[유튜브]]가 구글에 인수되어 화제가 된다. 이 시기 국내 [[UCC]] 사이트들도 [[우후죽순]]으로 생겨났고, [[어도비 플래시]] 플레이어가 널리 확산되었다.[* 2003년 플레이어 개선, 2005년 신 코덱 도입, 2007년 [[H.264]] 도입 등 발빠르게 움직였다.] 2007년, [[H.264]] 코덱이 슬슬 보급되기 시작하고[* 본격적인 보급은 [[Windows 7]], [[iPhone 4]]와 함께 이루어진다.] [[Microsoft Silverlight]]가 플래시와 경쟁하기 위해 출시되었다. 2009년, 인터넷 실명제/[[저작권법]] 삼진아웃제 등이 '''국내업체만 적용'''받았다. 이때부터 한국업체들의 급속한 몰락이 시작되었다. [[https://www.sisajournal-e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11881|기사1]] [[https://news.bizwatch.co.kr/article/mobile/2020/05/26/0021|기사2]] [[https://www.ohmynews.com/NWS_Web/View/at_pg.aspx?CNTN_CD=A0002109869|기사3]] 2012년 5월, [[구글]] [[Chrome]]이 [[Internet Explorer]]의 점유율을 제쳤다.(전세계 기준) 이는 [[ActiveX]]를 통한 [[그리드 컴퓨팅]]의 쇠퇴를 의미하고, 영상재생에 [[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]]([[어도비 플래시]] 플레이어, [[Microsoft Silverlight]]) 설치 등의 진입장벽이 완화됨을 의미한다. 2014년, [[HTML5]]가 표준화되며 브라우저'''만으로''' 영상을 보기 적합한 환경이 구축/개선되었다. 2015년, [[Windows 10]]이 출시되고, 우리나라도 [[Internet Explorer]]과 [[ActiveX]]에 치우쳐져 있었던 인터넷 환경이 조금씩 변해가기 시작했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SA 4.0
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63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Liberty
|
the tree